헤이즈(Haze)

수동렌즈는 만들어진지 수십 년이 넘은 렌즈들이 많기 때문에 렌즈 상태를 잘 살펴보아야 한다. 헤이즈는 조리개에 사용된 윤활제가 증발하면서 렌즈에 쌓여서 생기거나 렌즈 재료가 시간에 따라서 증발되면서 나타나는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헤이즈는 밝은 빛 아래서 보아야만 보이는 경우가 많다. 어두운 곳이나 실내에서는 렌즈 내부에 생긴 헤이즈가 잘 보이지 않는다.

약한 헤이즈는 감수하고 그냥 사용할 수 있지만 헤이즈가 심하면 사진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다. 헤이즈는 상태에 따라서 수리가 가능한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헤이즈와 함께 렌즈 코팅이 상했다면 수리가 어렵다. 헤이즈가 약해서 사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그냥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오히려 수리하다가 렌즈 코팅이 벗겨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수동 렌즈를 구매하기 전에 밝은 빛 아래서 렌즈 내부를 살펴보아서 헤이즈가 있는지 살펴보고 헤이즈가 없는 렌즈를 구매해야 한다.


'ETC > Lens Probl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변  (0) 2017.05.18
곰팡이  (0) 2017.05.17
클리닝 기스  (0) 2017.05.17
발삼  (0) 2017.05.17
유막  (0) 2017.05.17

유막(Oil on the Aperture Blades)

수동 렌즈를 사용하다 보면 문제가 있는 렌즈들을 만나게 된다. 대표적인 현상 가운데 하나가 유막 현상이다. 유막 현상은 조리개에 윤활유가 흘러나와 조리개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현상이다. 유막은 렌즈 안에 조리개 날에 묻은 기름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렌즈 문제들 가운데 유막은 해결하기 어렵지 않은 문제이다. 렌즈 수리점에 가면 유막 제거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유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리점을 찾아서 시간과 돈을 쓰기보다 미리 확인하여 유막이 없는 렌즈를 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오래된 수동 렌즈들 가운데는 렌즈를 열였을 때 광축이 틀어지거나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동 렌즈를 구매할 때 미리 유막 현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ETC > Lens Probl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변  (0) 2017.05.18
곰팡이  (0) 2017.05.17
클리닝 기스  (0) 2017.05.17
발삼  (0) 2017.05.17
헤이즈  (0) 2017.05.17

수도권에서 꽃사진 찍기 좋은 수목원들 지도입니다.


+ Recent posts